9월, 2025의 게시물 표시

30. 다윗의 마지막 말 ( 사무엘하 23:1 - 7)

1–7절은 다윗의 마지막 말입니다. 이것은 하나님께서 다윗에게 명시적으로 혹은 암시적으로 말씀하신 것이며, 곧 그의 인생 여정 가운데 배운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일하시는 네 가지 방식은 주권적 선택과 약속, 친밀한 교제를 통한 역사, 여호와를 경외하는 자에게 주시는 복, 그리고 악인의 무가치함입니다. 👉  사무엘하 23:1 - 7 Q1. 하나님의 주권적 선택과 약속을 보여주시는 구절을 찾으십시오. Answers 👉 ‘야곱의 하나님’(1절), ‘이스라엘의 하나님’(3절), ‘이스라엘의 반석’(3절), ‘나와 더불어 영원한 언약을 세우사’(5절) Q2. 하나님을 경외하며 사는 자는 아침의 (     ) 과 같습니다. 하나님께서 나의 모든 (      ) 과 나의 모든 (     ) 을 이루게 하십니다.  그러나 악인은 (      ) 와 같아서 손에 (      ) 수 없어 쓸모없으며 던져져 불살라집니다. Answer 👉 하나님을 경외하며 사는 자는 아침의 ( 빛 ) 과 같습니다. 하나님께서 나의 모든 ( 구원 ) 과 나의 모든 ( 소원 ) 을 이루게 하십니다.  그러나 악인은 ( 가시 ) 와 같아서 손에 ( 잡을 ) 수 없어 쓸모없으며 던져져 불살라집니다. ‘여호와의 영이 나를 통하여 말씀하심이여 그의 말씀이 내 혀에 있도다’(2절) 이말씀은 하나님께서 택하신 자와 친밀히 교제하시며 역사하심을 보여줍니다. ‘내 집이 하나님 앞에 이같지 아니하냐 하나님이 나와 더불어 영원한 언약을 세우사 만사에 구비하고 견고하게 하셨으니 나의 모든 구원과 나의 모든 소원을 어찌 이루지 아니하시랴’(5절) 이 말씀은 하나님께서 그분의 영을 택한자에게 부어주사 그사람의 마음의 원하는 것이 하나님의 원하는 것이 되고, 그리함으로 그 사람이 원하는 소원을 이루는 것이 바로 하나님...

29. 다윗의 노래: 여호와는 신실하시다 ( 사무엘하 22:26 - 52)

다윗의 노래가 자기자신에게서 하나님께로의 초점의 이동을 보입니다. 처음에는 자신에게 베푸신 구원을 노래하였으나 이제는 하나님의 성품(신실하심)과 이루실 것들에 대해 기대하고 노래합니다. 그의 관심이 자신에게서 하나님께로 옮겨감을 봅니다. 👉  사무엘하 22:26 – 51 Q1. 구원의 경험을 통해 다윗은 여호와에 대해 무엇을 배웠습니까? (26–28절) Answers 👉 신실하시고(26) 공정하시고(27) 약한자를 구원하신다(28) 29–30절은, 하나님께서 약속을 지키시는 신실하심을 알았기에 다윗에게 하나님의 말씀이 발의 등불이 되었고, 원수 앞에 담대히 설 수 있는 용기를 주셨음을 보여줍니다. Q2. 다윗이 ‘하나님이 참 하나님’ ('하나님 외에 누가 하나님이랴')이라 부르며 고백한 두 가지 속성은 무엇입니까? (31–33절) Answer 👉 하나님의 말씀은 진실하니 피하는 자에게 보호를 제공하심 (말씀대로) : 하나님의 신실하심 하나님은 견고한 요새시라: 어느것도 하나님께서 보호하시면 우리를 해할 수 없음. Q3. (29–46절) 다윗이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알았을 때, 그는 더욱 말씀을 따르기를 원했고(   절), 원수 앞에 담대히 설 수 있었으며(     절), 하나님께 피하였습니다(    절). 다윗이 말씀을 좇았을 때, 여호와께서 그를 전쟁에 능숙하도록 훈련하셨습니다(   ~   절). 여호와께서 (            )를 주시어 다윗은 힘을 얻었습니다(36절). 다윗은 원수들을 물리쳤지만 (   ~   절) 그것을 가능하게 하신 분은 (          ) 이셨습니다(40–41절). 여호와께서는 다윗을 배타적으로 도우신 것입니다 (     ...

28. 다윗의 노래: 여호와는 나의 반석이시요 (사무엘하 22:1–25)

사무엘상은 한나의 노래로 시작하고 사무엘하는 다윗의 노래로 끝납니다. 한나는 여호와의 주권자되심과 기름부은자를 높이실 것으로 노래했다면, 다윗은 여호와께서 그것을 어떻게 이루셨는지 노래합니다.  👉  사무엘하 22:1 – 25 Q1. (1–4절) 다윗의 찬양의 이유는 무엇입니까? (1, 51) Answers 👉 여호와의 나의 구원이십니다. 다윗의 노래의 뒷부분은 그분의 신실하심, 특별히 택하신 자에 대한 신실하심에 대해 노래하고 있습니다. 본문에서 하나님을 부르는 여러 표현에 주목해 보십시오: 나의 높은 바위, 나의 요새, 나의 구원자, 나의 반석. 단순히 ‘높은 바위’나 ‘요새’가 아니라 ‘나의 요새’라고 고백합니다. 다윗은 여호와의 구원을 인격적으로 체험한 것입니다. “여호와께서 나를 구원하셨다”라고 말하는 것보다 “나의 구원자”라고 칭하는 것이 더 강한 선언입니다. ‘구원자’라는 이름을 여호와께 돌려 드림으로써, 다윗은 자신이 어려움 가운데 있을 때 언제든지 여호와께서 구원해 주실 것을 확신합니다. 왜냐하면 그것이 그분의 이름이자 정체성이기 때문입니다. Q2. 사망의 물결이 나의 삶을 압도하는 상황 속에서, (       )이 내 마음을 옥죄어 아무것도 할 수 없을 때에, 내가 내 하나님께 부르짖으니, 그분은 (       )에서 내 소리를 들으셨습니다. (5–7절) 땅은 진동하고 흔들렸으니, 이는 그분께서 (       ) 하셨기 때문입니다. (8–9절) 여호와께서 (      ) 하시니 하늘은 낮아지고, 그가 꾸짖으시니 (   )이 드러나고 세상의 기초가 드러났습니다 (10–16절) 그분은 손을 내밀어 나를 (    )에서 건져 내셨습니다. 그분은 나를 강한 원수에게서 구원하시고 사람들 앞에서 나를 의롭다 하셨습니다. 그분이 나를 건지신 이...

27. 기브온 언약 & 블레셋을 물리침 ( 사무엘하 21:1–22)

사무엘서가 마지막 장들에 가까워질수록 다윗의 이야기도 끝을 향해 나아갑니다. 이 본문은 하나님의 언약적 신실하심이 계속 이어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그것은 공동체 내적으로는 가장 인정받지 못하는 무리들을 향한 신실하심이며, 또한 외부로는 그들의 원수인 블레셋 거인족들을 물리치게 하시는 신실하심입니다. 👉  사무엘하 21:1 – 22 Q1. 다윗의 통치 시절에, 3년 동안 연속으로 기근이 들었습니다. 그 이유는 사울이 기브온 사람들을 진멸하려 했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는 왜 그렇게 했으며, 무엇이 잘못되었습니까? Answers 👉 • 그는 이스라엘을 향한 열심 때문에 그렇게 했습니다. • 그러나 사울은 기브온 사람들과의 언약을 깨뜨렸습니다(여호수아 9:18–19). 다른 통찰: 신실함은 열심보다 더 중요합니다. 신실함은 필수적이지만, 열심은 선택적입니다. 사울은 종종 열심으로 인해 잘못된 결정을 내렸습니다. 예를 들어, 그는 블레셋 사람들을 무찌르기 전까지 병사들에게 아무것도 먹지 못하게 명령했는데(사무엘상 14장), 그것은 결국 해로운 결정이 되었습니다. 기브온 사람들과 맺은 맹세도 마찬가지였습니다. 그들의 거짓으로 인해 이루어진 맹세였을지라도, 여호와의 이름으로 맹세한 것이었기에 반드시 지켜져야 했습니다. Q2. 그들이 왕에게 대답하였습니다. ‘그의 자손 (      )사람을 우리에게 내주소서 (        ) 택하신 사울의 고을 기브아에서 우리가 그들을 (       ) 앞에서 목 매어 달겠나이다. 왕은 요나단과의 언약 때문에 ( )은 보호하고, 사울의 아들 ( ) 명과 손자 ( ) 명을 붙잡아 기브온 사람들에게 넘겼습니다. 그들은 그들을 산 위에서 (       ) 앞에 달아 죽였습니다. 시체들이 바위 위에 장사지내지 못한 채 놓였을 때, ( )는 그녀의 아들들을 위해 슬퍼하며 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