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2025의 게시물 표시

32. 다윗왕의 실패: 인구조사 ( 사무엘하 24:1 – 25)

사무엘서의 마지막 장은 다윗의 실패이야기입니다. 이러한 결말은 비록 하나님의 마음에 합한 자였지만 죄성을 가지고 있었던 다윗의 한계를 보여주었습니다. 또한 죄의 본성으로 인해 수시로 하나님의 진노가운데 떨어지는 백성들에게는 하나님의 진노를 막아줄 죄 없고 흠 없는 왕이 필요함을 깨닫게 됩니다.  👉  사무엘하 24:1 - 25 Q1. 다윗이 인구조사를 하게 된 동기는 누구로부터 비롯되었습니까? (역대상 21:1도 함께 보세요) Answers 👉 하나님이십니다. 역대기 기자는 사탄이 다윗을 충동하여 죄를 짓게 하였다고 기록합니다. 사탄이 다윗을 시험했더라도, 욥의 경우처럼 하나님께서 그것을 허락하신 것입니다. 누가 충동했든지, 죄의 씨앗은 다윗의 마음 안에 있었습니다. 1절은 하나님의 진노가 다시 이스라엘을 향했다고 말합니다. 그 대상은 다윗이 아니라 이스라엘이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에게 즉각적인 심판을 내리시지 않고, 대신 그들의 왕을 충동하시어 그의 죄성이 드러나게 하심으로써 심판을 위한 빌미를 만드십니다. “다시”라는 말은 이스라엘의 끊임없는 반역과 실패의 역사를 상기시키며, 그들의 죄로 인해 여호와의 진노가 반복적으로 일어난 것을 보여줍니다. 다윗은 이스라엘을 원수들로부터 구원했을지언정, 여호와의 의로운 진노로부터는 구원하지 못했습니다. 그 자신도 불완전하고 죄인이었기에, 오히려 심판의 촉발자가 되었습니다. 이 사건은 가장 위대한 인간 지도자조차 한계가 있음을 드러내며, 죄와 사망으로부터의 참된 구원을 위해서는 죄 없고 완전한 왕이 필요함을 보여줍니다. Q2. 인구조사를 한 것이 왜 잘못이었습니까? (2–3절) Answer 👉 다윗은 하나님의 능력이 아니라 군사의 숫자에 의지하고 싶어 했기 때문입니다. 또한 그 당시 인구조사는 각 성읍을 다니며 오랜 시간과 자원을 들여야 하는 일이었습니다. 5–8절은 그 일이 얼마나 길고 고된 과정이었는지를 묘사합니다. 그래서 요압과 군 지휘관들이 이를 반대...

31. 다윗의 용사들 ( 사무엘하 23:8 – 39)

이들은 다윗을 도와 그의 나라를 굳건히 세운 용사들입니다. 👉  사무엘하 23:8 - 38 Q1. 세 명의 용사들의 무용담(8–12절) 가운데, 엘르아살과 삼마의 기록에서 공통적인 두 가지는 무엇입니까? Answers 👉 온 이스라엘이 도망하였고 그가 홀로 싸웠습니다. 여호와께서 그들에게 큰 승리를 주셨습니다. Q2. 다윗이 물을 부어 버린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16–17절) Answer 👉 그는 용사들이 목숨을 걸고 가져온 물을 마실 수 없었습니다. 두 가지 관찰: 그들은 다윗에게 매우 충성했습니다. 그리고 그러한 헌신은 하나님께만 합당합니다. Q3. 아비새와 브나야와 비교하면서, 저자가 처음 세 용사를 높인 구절은 어디입니까? Answers 👉 19절과 23절입니다. 처음 세 용사는 전투에서 비할 데 없는 용맹을 보였고, 다른 사람들이 도망할 때에도 다윗에게 충성을 지켰으며, 성경은 그 승리를 여호와께서 주셨다고 기록합니다. 본문의 13절에 나오는 “세 사람”이 8–12절의 처음 세 사람과 동일한지 혹은 새로운 무리인지에 대해서는 모호합니다. 그러나 39절에서 최종적으로 37명으로 집계되는 것을 볼 때, 구조상 ① 처음 세 용사(8–12절), ② 두 번째 세 용사(13–23절), ③ 나머지 서른한 명(24–39절)으로 구분하는 것이 타당해 보입니다. 두 번째 세 용사들은 주로 지휘관의 역할을 감당했지만, 저자는 의도적으로 처음 세 용사를 더 높이 평가합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진정한 용사의 전형, 곧 용맹과 충성, 그리고 하나님이 주신 승리의 표본이었기 때문입니다. 요압은 군사적 위상으로는 이 두 번째 세 용사 중 하나로 언급될 법하지만, 그의 잔혹함과 독단, 다윗에 대한 불순종 때문에 이름이 명단에서 의도적으로 빠졌습니다. 저자는 그를 영예의 명단 밖에 두었습니다. Q4. 추가 인물 읽기 Answers 👉 요압 스루야의 아들이자 다윗의 조카인 요압은 다윗의 군대 사령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