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턱뼈로 만든 무더기: 거절당한 리더의 승리 (사사기 15:1 – 20)
삼손은 유다사람들에 의해 블레셋 사람들에게 넘겨졌습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삼손에게 힘을 주셔서 목숨을 건질뿐 아니라 수많은 블레셋 사람들을 죽일 수 있도록 하셨습니다.
Q1. 삼손이 그의 아내가 다른 남자에게 주어졌다는 말을 듣고 ( ) 마리의 여우를 잡아 그들의 ( )에 횃불을 묶어 블레셋 사람들의 밭을 태웠습니다. 그러자 블레셋 사람들이 와서 그녀와 그녀의 아버지를 ( )살랐습니다. 삼손은 “내가 너희에게 ( )를 갚고야 말리라” 하면서 수많은 블레셋 사람들을 죽이게 됩니다. 그리고는 도망가서 ( ) 에 머물게 됩니다.
삼손이 그의 아내가 다른 남자에게 주어졌다는 말을 듣고 ( 300 ) 마리의 여우를 잡아 그들의 ( 꼬리 )에 횃불을 묶어 블레셋 사람들의 밭을 태웠습니다. 그러자 블레셋 사람들이 와서 그녀와 그녀의 아버지를 ( 불 )살랐습니다. 삼손은 “내가 너희에게 ( 원수 )를 갚고야 말리라” 하면서 수많은 블레셋 사람들을 죽이게 됩니다. 그리고는 도망가서 ( 에담바위 틈 ) 에 머물게 됩니다.
이 본문은 삼손과 블레셋 사람들 사이의 복수의 악순환을 보여줍니다. 3절과 7절은 삼손의 행동이 주로 복수심에서 비롯되었음을 보여줍니다.
블레셋 사람들은 삼손을 직접 대적하기를 피하고, 대신 그의 아내와 그녀의 아버지를 공격했습니다. 이는 삼손의 강력한 힘을 보여줍니다. 흥미롭게도, 이 부분에서는 여호와의 능력이 임했다는 언급이 없습니다.
Q2. 블레셋 사람들이 삼손을 잡기 위해 유다를 침공하자, 이스라엘 사람들이 삼손에게 와서 말했습니다. “너는 블레셋 사람들이 우리를 ( ) 줄을 알지 못하느냐? 네가 어찌하여 ( )에게 이같이 행했느냐? 우리가 너를 ( ) 하여 블레셋 사람의 손에 넘겨 주려고 왔노라” 그들은 새 밧줄 둘로 그를 결박하고 블레셋사람에게로 이끌어 갔습니다.
블레셋 사람들이 삼손을 잡기 위해 유다를 침공하자, 이스라엘 사람들이 삼손에게 와서 말했습니다. “너는 블레셋 사람들이 우리를 ( 다스리는 ) 줄을 알지 못하느냐? 네가 어찌하여 ( 우리 )에게 이같이 행했느냐? 우리가 너를 ( 결박 ) 하여 블레셋 사람의 손에 넘겨 주려고 왔노라” 그들은 새 밧줄 둘로 그를 결박하고 블레셋사람에게로 이끌어 갔습니다.
삼손은 자신을 위해 이스라엘사람들과 싸울 수도 있었지만, 그러지 않았습니다. 그는 이스라엘 사람들을 위해 자신를 내어주었습니다. 그리고 삼손을 넘겨준것은 동족 이스라엘 사람들이었습니다. 예수님도 유대인들에 의해서 로마총독에게 넘겨지셨습니다.
이것은 예수 그리스도와 유사합니다. 예수님은 민족을 구하기 위해 이방인들에게 넘겨지셨습니다. 또한 블레셋 치하에 있던 상황과 로마 치하에 있던 상황이 유사합니다. “만일 우리가 그를 이대로 두면 모든 사람이 그를 믿을 것이요 그리고 로마 사람들이 와서 우리 땅과 민족을 빼앗아 가리라 하니라” (요한복음 11:48).
삼손이 스스로 자신을 내어준 것은 기드온이나 입다와는 다른 점을 보여줍니다. 그들은 자신들의 백성과 대립할 때 거칠게 반응했지만, 삼손은 스스로 이스라엘 사람들에게 자신을 내어주게 됩니다.
Q3. 삼손은 나귀의 ( ) 턱뼈로 ( )명의 블레셋 사람들을 쳐 죽였습니다. 그는 승리의 노래를 부르며 그곳의 이름을 ( )라 불렀는데, 이는 ‘턱뼈의 언덕’을 의미합니다.
삼손은 나귀의 ( 새 ) 턱뼈로 ( 1000 )명의 블레셋 사람들을 쳐 죽였습니다. 그는 승리의 노래를 부르며 그곳의 이름을 ( 라맛레히 )라 불렀는데, 이는 ‘턱뼈의 언덕’을 의미합니다.
삼손은 여기서 언어 유희를 사용했습니다. 히브리어로 חֲמוֹר (ḥamor, "나귀")와 חֲמֹר (ḥamor, "더미")라는 단어는 "나귀"와 "더미" 사이의 언어적 유사성을 만듭니다.
삼손은 수수께끼와 승리의 노래에서 보여주는 것처럼 언어적 재능이 있습니다. 그러나 사사기 5장의 드보라와 달리, 그는 이 승리를 여호와께 돌리지 않았습니다.
Q4. 삼손은 큰 승리를 이루었지만, 그는 육체를 가진 연약한 존재였습니다. 여호와께서 삼손을 어떻게 도우셨는지 사사기 15장 전체에서 두 구절을 찾아보세요.
14절, 19절: 여호와께서 능력을 주시고 구원하심
삼손의 이야기는 진정한 문제가 그들의 마음에 있음을 드러냅니다. 삼손이 엄청난 힘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다른 사사들처럼 이스라엘을 구원할 수 없었습니다. 이는 그의 소명에 대한 무관심과, 압제자에 대항하여 싸우려 하지 않는 백성들의 노예 근성 때문입니다. 우리 내면에 있는 이러한 문제는 오로지 성령의 능력으로 우리의 마음이 새롭게 될때에 해결될 수 있습니다.
백성들에게 배신당한 리더의 승리는 예수님의 승리를 예표합니다. 승리는 삼손 자신에게서 온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로부터 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