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 죽음을 통한 마지막 승리 (사사기 16:23 – 31)

“삼손이 죽을 때에 죽인 자가 살았을 때에 죽인 자보다 더욱 많았더라.” 어쩌면 이 구절이 삼손의 사역을 결론짓는 문장일 수 있습니다.

👉  사사기 16:23 - 31 

질문 1. 블레셋 사람들은 삼손의 파멸을 어떻게 해석했습니까? (23-24절)

삼손을 자신들에게 넘겨준 것이 자신들의 신, 즉 다곤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삼손이 힘을 잃은 것은 하나님께서 그를 떠나셨기 때문이지만 블레셋 사람들은 그것을 자신의 신의 능력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즉 이방신의 능력이 하나님의 능력보다 더 크다고 여기는 상황이 온 것입니다. 성경에서 이러한 상황, 즉 하나님의 이름이 더럽혀 지거나 그의 백성이 심한 박해가운데 있어 하나님의 공의가 위협받는 시간이 길어지고 있는 상황은 이제 곧 하나님의 개입하심이 임박했다는 복선입니다.



질문 2. 삼손은 첫 번째와 마지막 기도에서 자신의 잘못을 고백하지 않고 블레셋 사람들에게 복수만을 구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그런데 왜 하나님은 그의 간구에 응답하셨을까요? (13:4 & 7, 16:22)

이는 하나님께서 삼손을 나실인으로 세우시고 그를 통해 이스라엘을 구원하려고 계획하셨기 때문입니다. 머리를 깎임으로써 그의 나실인의 삶을 새로 시작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또한 눈이 멀고 쇠사슬에 매임으로써 삼손은 어쩔 수 없이 나실인의 삶을 살게 되었을지 모르겠습니다.

삼손은 복수를 위해 힘을 구했지만, 여호와께서는 그의 간구를 들으셨습니다. 왜냐하면 삼손은 여호와께서 선택하고 준비하신 구원자였기 때문입니다. 성경에 기록된 삼손의유일한 기도에서 그는 자신의 잘못을 고백하지는 않았지만, 모든 능력이 여호와로부터 온다는 것을 인정하고 겸손히 그분의 힘을 구하며 그분의 주권을 인정했습니다.





질문 3. 다음 두 문장은 삼손의 사역을 결론짓습니다. 삼손이 (      )때에 죽인 자가 (       ) 때에 죽인 자보다 더욱 많았더라. 그의 형제와 아버지의 (       ) 집이 다 내려가서 그의 시체를 가지고 올라가서 장사하니라.

다음 두 문장은 삼손의 사역을 결론짓습니다. 삼손이 ( 죽을 )때에 죽인 자가 ( 살았을 ) 때에 죽인 자보다 더욱 많았더라. 그의 형제와 아버지의 ( 온 ) 집이 다 내려가서 그의 시체를 가지고 올라가서 장사하니라..

우리는 삼손의 결말이 해피엔딩이 아닌 점에 대해서 안타까워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성경은 왜 그의 죽음을 통한 승리를 더 위대한 것이라고 말하고 있을까요? 

삼손의 죽음은 깊은 신학적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이는 여호와께서 계획하신 구원은 죄로 오염된 육체로부터의 구원을 의미하며 그것은 육체의 죽음에서부터 시작된다는 점을 암시합니다. 그러기에 하나님께서는 그의 실패와 죽음까지도 허락하신 것입니다.  

모든 가족이 내려와 그의 시신을 가져다가 열조의 땅에 묻었다고 기록합니다. 이는 삼손이 많은 결점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선택받은 거룩한 백성의 일원이자 이스라엘의 지도자로서 명예로운 장례를 치루었음을 의미합니다.



삼손의 이야기는 하나님께서 어떻게 죄인된 인간을, 사사기에 나타난 끊임없이 죄의 사이클을 반복하는 백성들, 구원하실지에 대한 힌트를 제공합니다. 특히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말입니다.

하나님은 사람들이 구원자를 요청하지 않을 때에도 그를 준비하십니 (사사기 13장).

하나님의 섭리는 종종 신비롭고 이해하기 어렵지만, 항상 그분의 약속에 신실합니다 (사사기 14장).

전능하신 구원자는 그의 백성에 의해 배신당하고 넘겨지게 됩니다 (사사기 15장).

그는 자신의 죽음을 통해 구원을 이루셨고, 그 후에 영광을 받으십니다 (사사기 16장).


사사기의 결론적인 이야기로서 삼손이야기는 다음과 같은 중요한 진리를 전합니다.

  • 구원은 오직 여호와께로부터 옵니다.
  • 우리의 문제의 근원은 우리의 마음입니다. 우리의 연약함은 외부적인 능력의 부족 때문이 아니라 하나님을 향한 신뢰와 의탁의 부족때문입니다.
  • 마음을 새롭게 하는 것은 죽음과 같은 자기부인이 첫번째 단계입니다. 
  • 17-21장에서 이어지는 두 에피소드는 우리가 현재 얼마나 절망적 상황에 있는지 보여줍니다. 따라서 우리로 하여금 하나님께서 이루신 완전한 구원을 갈망하며 그 때를 기다려야 함을 말합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26: 제2사랑계명을 어김: 과도한 환대, 폭력적 적대감, 그리고 이기심 (사사기 19:1 – 30)

35: 나는 참 포도나무요 너희는 가지니 (요 15:1 – 17)

17: 암몬에 대해 승리했으나 비극적인 결말을 맞은 입다 (사사기 11:29 –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