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2025의 게시물 표시

26. 세바의 반역 그리고 한 지혜로운 여인 (사무엘하 20:1–26)

사무엘하 20장은 다윗의 어리석은 판단과 요압의 잔혹한 꾀가 드러나는 가운데, 이름 없는 한 지혜로운 여인의 말이 성읍과 공동체를 구원하는 장면을 보여줍니다. 다윗은 화해를 꾀했으나 실행의 지혜가 부족하여 분열을 불러왔고, 요압은 반역을 진압했으나 도덕적으로는 부패하였습니다. 반면 지혜로운 여인은 협상과 권면으로 평화를 이루었으니, 이 이야기는 참된 지혜가 폭력이나 어리석은 결정보다 더 큰 힘을 발휘함을 보여줍니다. 👉  사무엘하 20:1 – 26 문제 1. (1–7) 요단 나루터에서 유다 사람들이 다윗을 다시 왕으로 모셔오는 공로를 지나치게 독점하려 하자, (       )가 또 다른 반역을 일으켰습니다. 이에 온 이스라엘 사람들이 다윗을 버리고 (       )를 따랐습니다. 예루살렘으로 돌아온 다윗은 (       )을 가두어 두었습니다. 그 후 그는 (      )에게 세바의 반역을 진압하기 위해 군사를 소집하라고 명령했으나, 그는 주어진 사흘을 넘겨 지체하였습니다. 결국 다윗은 (      )에게 요압의 군사들을 이끌고 비그리의 아들 세바를 추격하라고 명령했습니다. Answers 👉 요단 나루터에서 유다 사람들이 다윗을 다시 왕으로 모셔오는 공로를 지나치게 독점하려 하자, ( 세바 )가 또 다른 반역을 일으켰습니다. 이에 온 이스라엘 사람들이 다윗을 버리고 ( 세바 )를 따랐습니다. 예루살렘으로 돌아온 다윗은 ( 열 명의 후궁 )을 가두어 두었습니다. 그 후 그는 ( 아마사 )에게 세바의 반역을 진압하기 위해 군사를 소집하라고 명령했으나, 그는 주어진 사흘을 넘겨 지체하였습니다. 결국 다윗은 ( 아비새 )에게 요압의 군사들을 이끌고 비그리의 아들 세바를 추격하라고 명령했습니다. 주: 다윗은 이번 작전에서 의도적으로 요압을 배제하려 하였습니다. 문제 2. (8...

25. 예루살렘으로 돌아옴 ( 사무엘하19:9 – 43)

다윗이 예루살렘으로 돌아올 때 여러 사람들이 와서 도와주고 환영하고 또는 용서를 구했습니다. 모두 각자의 사정이 있었습니다. 👉  사무엘하 19:9 – 43 Q1. 다윗이 유다 사람들에게 보낸 메시지는 무엇입니까? (11-13절, 세 가지) Answers 👉 • 이스라엘 사람들이 왕을 모시기 전에 먼저 행동하라. • 너희는 나의 형제들이다. • 아마사를 군대 지휘관으로 삼겠다. 11절은 “왕은 이스라엘 사람들이 그를 다시 왕으로 모시려 한다는 것을 들었다. 그러므로 유다 사람들이 먼저 행동하여 다윗을 왕으로 모시라”는 의미입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반역에 가담한 죄로부터 생명을 보존할 뿐 아니라, 왕이 나라를 정비할 때 상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또한 아마사에게 군대 지휘관의 직책을 약속한 것은 또 다른 반역의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함이었습니다. 그는 압살롬의 군대 사령관이었으므로 처벌을 피하려고 다시 반란을 일으킬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를 임명함으로써 ‘자기 보존을 위한 반란’의 가능성을 제거했을 뿐 아니라, 요압의 독단적인 권세를 견제하는 효과도 있었습니다. Q2. 다윗이 요단강을 건너 예루살렘으로 돌아올 때, 베냐민 사람 ( )와 사울 집안의 종 ( )가 와서 다윗과 그 일행을 도왔습니다. 시므이가 자신의 죄를 용서해 달라고 간구하자, ( )이 그를 죽이려 했습니다. 그러나 다윗은 그를 꾸짖으며 이렇게 말했습니다. ( ). Answers 👉 베냐민 사람 ( 시므이 )와 사울 집안의 종 ( 시바 )가 다윗을 도왔습니다. 시므이가 용서를 구하자 ( 아비새 )가 그를 죽이려 했으나, 다윗은 꾸짖으며 “오늘 이스라엘에서 누가 죽임을 당하겠느냐? 내가 오늘 이스라엘의 왕 된 것을 내가 알지 못하겠느냐”라고 말했습니다.  지금은 다윗이 나라를 화합시켜야 할 때였습니다. 이때 누구를 죽이는 것은 합당치 않았습니다. 또한 다윗이 원한다면, 나중에 왕으로서 그의 저주를 갚을 수도 있었습니다. 게다가 ...

24. 왕이 아들의 죽음을 두고 울다 (사무엘하 18:19 – 19:8)

다윗은 압살롬의 죽음을 마치 자신의 아들이 자신이나 나라보다 더 중요하다는 듯이 울었습니다. 이로 인해 요압과 군사들이 불만을 품게 되었습니다. 👉    사무엘하 18:19 – 19:8 Q1. 요압이 만류했음에도 아히마아스가 승전 소식을 전하려 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18:22) Answers 👉 • 그는 보상을 기대했을 수 있습니다. • 요압은 다윗이 압살롬의 죽음을 기뻐하지 않을 것을 알았기에, 혹시 다윗의 분노로 죽임을 당할 수 있는 위험한 임무를 구스 사람에게 맡겼습니다. Q2. 본문은 계속해서 다윗을 ‘왕’이라고 부릅니다. 18:19 – 19:8 사이에서 ‘왕’이라는 표현이 몇 번 나옵니까? Answers 👉 • 11회 이상 나옵니다. • 또한 압살롬은 ‘왕의 아들’(18:20)이라 불렸으며, 사람들은 다윗을 ‘내 주 왕이여’(18:28, 31, 32)라 부릅니다. • 이 본문은 ‘아들을 잃은 슬픔’과 ‘왕으로서의 책임’이 대조되는 장면을 보여줍니다. 다윗은 이 두 정체성과 책임 사이에서 갈등했습니다. Q3. 다윗은 아들이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무엇이라 외쳤습니까? Answer 👉 “내 아들 압살롬아! 내 아들, 내 아들 압살롬아! 차라리 내가 너 대신 죽었더라면 좋았을 것을! 압살롬아, 내 아들아, 내 아들아!” Q4. 요압의 말에 따르면, 다윗의 행동은 무엇이 잘못이었습니까? (19:6) Answers 👉 • 그는 군사들의 생명과 희생에는 관심이 없고, 오직 압살롬만 걱정했습니다. • 그는 국가적 위기 앞에서 책임 있게 반응해야 하는 ‘왕의 자리’를 망각했습니다. 요압이 다윗을 ‘내 주 왕이여’라고 부르지 않은 점도 주목할 만합니다. • 다윗은 성문에 앉아 백성을 맞이해야 했으나(19:8), 집에서 울고만 있었습니다 (19:5).

23. 압살롬의 죽음 (사무엘하 18:1–18)

이제 전쟁이 압살롬의 군대와 다윗의 군대 사이에서 벌어졌습니다. 다윗은 아들을 죽이지 말라고 명령했으나, 요압은 그를 죽였습니다. 👉    사무엘하 18:1 - 18 Q1. (1–8) 다윗은 군대를 재편하여 요압 한 사람에게만 맡기지 않고 ( ) 명의 지휘관에게 나누어 맡겼습니다. 다윗은 전쟁에 직접 나가기를 원했지만, 그의 부하들은 ( )에 머물도록 권했습니다(1–4절). 그는 모든 군사들에게 ( )을 너그럽게 대하라고 공개적으로 명령했습니다(5절). ( ) 백성은 다윗의 부하들에게 패배하였고, ( )이 칼보다 더 많은 사람을 죽였습니다(6–8절). 정답 보기 👉 다윗은 군대를 재편하여 요압 한 사람에게만 맡기지 않고 ( 세 ) 명의 지휘관에게 나누어 맡겼습니다. 다윗은 전쟁에 직접 나가기를 원했지만, 그의 부하들은 ( 성 )에 머물도록 권했습니다(1–4절). 그는 모든 군사들에게 ( 압살롬 )을 너그럽게 대하라고 공개적으로 명령했습니다(5절). ( 이스라엘 ) 백성은 다윗의 부하들에게 패배하였고, ( 수풀 )이 칼보다 더 많은 사람을 죽였습니다(6–8절). 다윗은 아들의 안전을 염려하여 직접 군대를 이끌고자 했을 것입니다. 요압이 독단적으로 행동할 것을 알았기에, 그는 군대를 요압 한 사람만이 아니라 세 명의 지휘관에게 나누어 맡겼습니다. 성경은 이 전투를 ‘이스라엘 군대와 다윗의 부하들 간의 전쟁’으로 묘사하는데, 이것은 반란이 단지 압살롬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이스라엘 온 나라에까지 확산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일까요? 한편으로 온 이스라엘이 다윗에게 대적하지만 하나님은 그것을 허락하지 않으심을 보여줍니다. 또한, 숲이 칼보다 더 많은 사람을 죽였다는 기록은 하나님의 개입을 암시하는 것일까요? Q2. 압살롬은 어떻게 곤경에 처하게 되었습니까? 정답 보기 👉 그의 머리가 상수리나무에 걸렸습니다. 그의 머리털은 아름다움으로 칭송받았으나(14:26), 이제는 그를 공중에 매달리게 한 원인이 되었습니다....

22. 아히도벨의 죽음 ( 사무엘하 17:1 – 29)

경황이 없는 그러한 순간들 속에서 다윗이 압살롬의 임박한 위협에서 벗어날 수 있었던 것은 하나님의 도우심이었습니다. 👉    사무엘하 17:1 - 29 Q1. (1–3) 아히도벨의 계략은 무엇이었습니까? 답 👉 다윗만을 목표로 하여 신속하고 은밀하게 공격해 그를 죽이려는 것이었습니다. (v 2) Q2. (7–14) 압살롬이 후새의 계략을 따른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세 가지. 8–10 & 12–13, 11, 14) 답 👉 압살롬은 작전 실패의 위험을 두려워했습니다. (vv 8–10, 12–13) 후새의 계획은 압살롬의 교만한 마음을 자극했습니다. (v 11) 여호와께서 압살롬에게 재앙을 내리기로 작정하셨기 때문입니다. (v 14) 하나님은 항상 즉시 심판을 내리지 않으시고, 종종 악인이 자신의 죄악으로 인해 넘어질 때까지 기다리십니다. 그들의 교만과 두려움과 부패가 치명적인 실수를 만들고, 하나님의 완벽한 때에 주님은 그들이 넘어지도록 내버려두십니다. 교만은 패망의 선봉이요, 거만한 마음은 넘어짐의 앞잡이니라. (잠 16:18) Q3. (15–19) 요나단과 아히마아스는 압살롬의 정탐꾼들에게서 어떻게 도망쳤습니까? 답 👉 바후림의 한 여인이 그들을 자기 집의 우물 속에 숨겼습니다. (v 18) 그녀의 의도적인 숨김은 라합이 정탐꾼을 숨긴 일을 연상시키며, 이는 주님께서 징계 가운데서도 다윗을 보호하심을 다시 보여줍니다. (v 19) 21–22절은 빠른 속도로 전개되며, 주님의 도우심으로 다윗이 얼마나 신속히 위기에서 벗어났는지를 강조합니다. (vv 21–22) Q4. (24–29) 이 본문은 이야기 전개에 전환점을 보여줍니다. ( )은 자신의 조언이 무시되는 한 압살롬의 반역이 성공하지 못할 것을 깨닫고 스스로 목을 매었습니다. ( ),...

21. 시바, 시므이, 아히도벨 (사무엘하 16:1–23)

시바는 뇌물과 거짓말로 다윗 왕을 속였습니다. 시므이가 다윗을 저주할 때, 다윗은 그 저주를 인내로 감당함으로써 여호와께서 자신을 불쌍히 여겨주시길 바랍니다. 아히도벨의 조언은 마치 선지자의 예언처럼 지혜로왔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압살롬은 세상영광을 구하는 그의 성향이 다음장에서 그의 몰락을 가져오게 됩니다.  👉    사무엘하 16:1 - 23 Q1. 다윗은 왜 시바에게 므비보셋의 소유를 주었을까요? (두 가지 이유) Answers 👉 음식과 거짓말 다윗은 시바가 가져온 넉넉한 음식에 너무 기뻐한 나머지 므비보셋에 대한 시바의 거짓말에 속았습니다. Q2. 시므이가 다윗에게 했던 비난은 무엇이었나요? (7,8절) Answer 👉 피 흘림에 대한 비난이었습니다. 다윗 자신이 사울과 그의 가족을 직접 죽인 것은 아니었지만, 사울의 죽음 이후 이어진 내전 가운데 다윗의 부하들이 사울의 가족과 친척들을 많이 죽였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우리야를 죽인 것에 대해 다윗은 찔렸을 것입니다. Q3. 다윗은 왜 시므이가 돌을 던지고 저주하는 데에도 보복하지 않았을까요? (10,12절) Answers 👉 그 일이 여호와로부터 나온 것이라면, 아무도 시므이를 멈출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다윗은 시므이의 저주를 포함한 온갖 고난을 인내로 감당함으로 여호와께서 그를 불쌍히 여겨주시길 바랐습니다.  이 장면에서 다윗은 억울한 비난을 받을 때 어떻게 반응해야 하는지를 우리에게 분명히 보여줍니다: 모든 상황이 좋든 나쁘든 여호와께서 주관하신다는 것을 인정하고, 하나님의 영광과 뜻을 구해야 합니다. Q4. 후새는 다윗의 친구였지만, 그의 아첨은 압살롬으로 하여금 그의 충성을 믿게 만들었습니다 (   절). 아히도벨의 조언대로 압살롬은 (      )과 잠자리를 가졌고, 이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