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 다시 도망자가 되다: 징계의 자리 (사무엘하 15:13–37)
이제 다윗은 자신의 아들 압살롬으로부터 도망쳐야 했습니다. 다윗의 떠남은 슬픔과 경외, 그리고 여호와의 뜻을 조용히 받아들이는 자세로 나타나며, 그 순간의 깊은 감정적 무게를 잘 보여줍니다. 👉 사무엘하 15:13 - 37 Q1. (13–18절) 이 본문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습니다. 다윗은 매우 두려워하며 서둘러 도망쳤습니다 ( 절) 모든 신하들은 다윗을 따랐습니다 ( 절, 절) 다윗과 신하들은 걸어서 도망갔으며 다윗은 ( )을 남겨두어 궁을 돌보게 했습니다. Answers 👉 14절, 15,18절, 후궁 열명. 한글성경에는 없지만 원어성경과 영어번역에는 '걸어서'갔다는 표현이 16-18절에서 3번 반복되어 강조됩니다. 이 장면에 대한 해석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 전통적인 해석은, 다윗의 도피를 피 흘림을 피하고 하나님을 신뢰한 지혜롭고 겸손한 선택으로 봅니다. 후궁들을 남겨둔 것도 실용적인 궁궐 관리 차원으로 해석합니다. 반면 현대 비판적 해석에서는 다윗의 도피를 자기 목숨을 건지기 위해 민첩하게 행동한 것으로, 후궁들을 남겨둔 것이 무책임하고 비윤리적 선택이며 결과적으로 그들이 학대받게 되는 결과를 초래했다고 봅니다 (16:22 참조). 그러나 양쪽 모두 이 사건이 나단의 예언 (12:11)의 성취이며 다윗의 과거 죄의 결과라는 점에는 동의합니다. Q2. 다윗은 ( )에게 새 왕과 함께 머물라고 권했으나, 그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여호와의 살아 계심과 내 주 왕의 살아 계심으로 맹세하옵나니 진실로 내 주 왕께서 어느 곳에 계시든지 ( ) 종도 그 곳에 있겠나이다.” 이에 다윗은 그를 허락하였습니다. Answer 👉 다윗은 ( 잇대 )에게 새 왕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