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 “그 배에서 생수의 강이 흘러나오리라” (요 7:37 – 52)
유대인들은 매년 절기 (초막절 특히 유월절)을 지내면서 여호와께서 과거 조상들에게 베푸셨던 놀라운 구원을 로마압제 가운데 있는 자신들에게도 베풀어 주시길 소망했습니다. 이제 예수님께서는 그러한 소망이 최고조에 이른 초막절 마지막 날에 그들의 오랜 숙원이 이제 성취되었음으로 선포합니다. 물론 그들의 기대와는 다른, 하지만 훨씬 큰 구원이었습니다. 👉 요한복음 7:37 - 52 Q1. '생수의 강'은 성령을 일컫습니다. 성령을 어떻게 얻게 되나요? Answers 👉 예수께 가며 예수를 믿으세요 영혼의 갈급함과 배고픔이 있는 자라면 누구든지 주님께 갈 수 있습니다. 그렇지 않다면 아직 아닙니다. 39절. 성령께서 우리에게 오시기 위해서는 예수님의 희생이 필요했음을 기억하십시오. 초막절 (히브리어로 숙곳)은 레위기 23:34-44에 기술된 바와 같이 이스라엘이 애굽로부터 구원받아 광야에서 지냈던 시간들을 기억하는 절기입니다. 또한 신명기 16:13-15에서와 같이 가나안에서의 하나님의 주신 복에 감사하는 절기였습니다. 이 절기가 되면 그들은 임시 거처를 만들고 추수한 과일과 곡식을 비롯하여 여러가지 색상으로 장식합니다. 광야에서의 시간들을 기억하기 위해, 주님이 명령한 대로, 7일 동안 그 임시 거처에서 지냅니다. 임시 거처를 히브리어로 숙카 (텐트라는 의미)이며 복수로 숙곳이라 부릅니다. 예수님 시절, 로마의 통치하에 있던 그들은 이러한 절기를 지내면서 하나님께서 애굽에서 조상들을 구해내신 것과 같이 주님의 구원하심을 갈망하였습니다. 그런 갈망에 따라 그들은 초막절 마지막 날 행사로 물 붓기 의식을 치렀습니다. 제사장들은 실로암 못에서 길어온 물을 준비하였다가 이 마지막 날에 제단 위에 물을 붓곤 했습니다. 이 행사는 이사야의 말씀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그러므로 너희가 기쁨으로 구원의 우물들에서 물을 길으리로다"(사 12:3). 구원을 기도하면서 물을 붓는 의식을 하였던 것입니다. 이...